주식
테마
개인연금
퇴직연금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0000D0)
엔비디아의 성장성에 미국채의 안정성을 더하다
월간운용보고서

월간운용보고서

동영상

유튜브 콘텐츠

블로그

블로그 콘텐츠

기준가격(NAV)
9,376.6원
상승 56.40원

(0.6%)

주당 시장가격
9,355원
상승35.00원

(0.37%)

거래량
18,899주
순 자산 규모
46,601,023,481원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7

0.04%
2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8

-0.4%
3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5

-1.12%
4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6

-1.57%
5

원화예금

103.15%
공유하기

수익률

기준일
확인해주세요
  • 수익률 표는 투자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 대표지수는 나스닥 지수 입니다.
기준일
2025.04.02
기준일 2025.04.02 16:55:3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확인해주세요
  • 상기 그래프는 분배금을 제외한 NAV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대표지수는 나스닥 지수 입니다.

구성종목(PDF)

기본정보

ETF명칭
미래에셋 TIGER NVDA-UST커버드콜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혼합-파생재간접형)(합성)
규모
46,601,023,481원
종목코드(단축코드)
0000D0
거래단위
1주
최초상장일
2024-12-17
기초지수
기초지수
ETF가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를 말하며,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도 불립니다. 투자자는 ETF의 수익률과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비교해 봄으로써 ETF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 (총수익)
운용목표, 운용방법, 환헤지 사항, 연금투자 가능여부, 설정단위 , 총보수 , 과세내용 , 분배금 지급 기준일 , 지정참가회사 , 유동성공급자 정보로 이루어진 테이블 표
운용목표 이 투자신탁은 채권 및 채권관련 집합투자증권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고,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 채권관련 집합투자증권, 채권관련 집합투자증권 및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장외파생상품(스왑 등) 등에 투자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한국경제신문에서 발표하는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원화환산)"」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운용방법 이 투자신탁은 한국경제신문에서 발표하는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TotalReturn)(원화환산)"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엔비디아 주식 매수, 미국 국채ETF 포트폴리오 매수 및 관련 콜옵션 매도로 구성된 기초지수 추종을 위해 주식, 채권 및 채권관련 집합투자증권, 채권 관련 파생상품 등에 투자할 수 있으며 기초지수 관련 스왑계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기 운용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이 투자신탁은 주기적으로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환헤지 사항 환헤지를 실시하지않습니다.
설정단위(1CU) 50000
총보수 연 0.39% (운용: 0.349%, 지정참가: 0.001%, 신탁: 0.02%, 일반사무: 0.02%)
과세내용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분배금 지급 기준일
- 지급기준일 : 매월 마지막영업일, 회계기간종료일(비영업일인경우 직전영업일)
- 지급시기 : 지급기준일 익영업일로부터 제7영업일 이내
지정참가회사(AP)
지정참가회사(AP)
발행시장에서 투자자와 ETF운용회사(집합투자업자) 사이에서 설정 또는 환매를 위한 창구역할을 하는 증권회사를 말합니다. 각 ETF별로 복수의 AP를 지정하고 있으며, AP는 투자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투자자를 대신해 설정 또는 환매에 필요한 PDF를 직접 매매해 줌으로써 투자자가 현금만으로 ETF를 설정 또는 환매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도 합니다.
메리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유동성공급자(LP)
유동성공급자(LP)
유통시장에서 ETF 매매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ETF의 유동성을 책임지는 증권회사를 말합니다.
통상 AP 중에서 1개사 이상이 LP로 지정되며, LP는 일정 수준의 호가범위 안에서 매수와 매도 물량을 공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장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ETF의 NAV 또는 iNAV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거래량이 낮은 ETF라도 언제든지 거래가 가능하게 됩니다.
(다만, 오전 9:00 ~ 9:05 및 오후 3:20 ~ 3:30 까지의 동시호가시간대에는 LP의 호가제공 의무가 없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메리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기초지수
※ 기초지수 :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Total Return)(원화환산)

- 산출기관 : 한국경제신문
- 지수개요 : 미국 증시에 상장된 엔비디아 주식(NVDA US)과 하위지수인 'KEDI 미국 30년 국채 커버드콜 17.14 지수'의 구성종목을 매수하는 혼합전략을 반영한 지수
- 산출방식 : 엔비디아 종목과 하위지수의 비중을 매일 3:7로 동일한 비중으로 조정(Constant Mix 방식)
- 기준일 및 기준지수 : 2016.01.08 기준 1,000

※ 'KEDI 미국 30년 국채 커버드콜 17.14 지수' (기초지수의 하위지수)
1) ETF 콜옵션 매도 :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20년 이상 만기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 가운데 AUM이 가장 높은 ETF(옵션 상장종목 한정)를 매도대상 콜옵션의 기초자산으로 선정하고, 미국 거래소 장내에서 거래되는 Weekly 콜옵션을 종목으로 선정합니다.
특정 롤오버 시점을 기준으로 그 다음 롤오버 날짜 이후로 만기가 도래하는 콜옵션 중 가장 가까운 행사일을 가진 콜옵션 종목을 매도대상 콜옵션으로 선정하고, 비중 결정일 기준 기초자산 종가와 가장 가까운 행사가격 중 높은 행사가격(등가격, At The Money)의 옵션을 선택. 70% 비중의 채권 ETF포트폴리오 포지션에서 연간 타겟 프리미엄 17.14%를 목표로 하여 옵션 만기일마다 매도수량을 산정합니다.
2) ETF 포트폴리오 매수 :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미국 국채 추종 ETF 중 운용자산규모(AUM)가 3억 달러 이상이고, 총보수율이 0.15% 이하인 ETF 중옵션의 매도대상 콜옵션의 기초자산으로 선정된 ETF와의 추적오차가 최소화된 ETF 10종목 이상(최대 20종목) 선정하여 매수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확인해주세요
  • YTM: 만기수익률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 시 얻을 수 있는 예상 수익률에 대한 참고지표 (보수 및 기타비용 차감 전, 연환산 기준)
  • 듀레이션: 채권 투자 시 투자원금의 평균 회수기간을 의미하며, 금리 변화에 대한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
  • YTM 및 듀레이션은 ETF 내 설정/환매에 따른 현금 비중 변화에 따라 실제 수치와는 다르게 산출될 수 있습니다.
    (채권혼합형의 경우, 주식을 제외한 채권 비중을 기준으로 산출)
  • 만기까지 보유 시 기대할 수 있는 만기 기대수익률(YTM)은 투자자별로 투자시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운용 결과에 따라 ETF 만기 시 실제로 수취하는 수익에 대한 연율화된 누적 수익률은 YTM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기준가격

기준일
투자 시 유의사항
  • 펀드에 가입하시기 전에 펀드의 운용목적, 투자위험 및 수수료 등에 관한 정보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투자설명서를 꼭 읽어보신 후 자신의 투자목적에 부합되는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펀드재산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신탁업자에 의해 안전하게 보관 관리되고 있으며 운용실적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될수 있고 그 결과는 투자자(주주)에게 귀속됩니다.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에 투자하는 펀드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투자자산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추적대상지수 수익률 추종을 위한 최적화(optimization) 과정, 해당 펀드와 관련한 다양한 보수 또는 비용, 펀드재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배당, 지수, 구성종목의 정기 또는 특별변경으로 인한 구성종목의 교체 또는 비율변경 등으로 인하여
    추적오차
    추적오차
    ETF의 수익률이 기초지수의 수익률과 얼마나 정확히 일치하고 있는지 확인시켜 주는 지표로서, 추적오차가 낮을수록 ETF의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좋은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측정방법으로는 특정기간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는 방법이 있으나, 과거 일정기간 동안 두 수익률간의 일간 표준편차를 구해보는 방법이 보다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적오차는 ETF 운용회사의 운용능력과 직결되는데, 복제방법과 복제수준, 운용보수,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및 이자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추적오차의 정도가 결정됩니다.
    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펀드가 거래되는 거래소와 이 펀드의 추적대상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이 거래되는 거래소의 영업일이나 거래시간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거래소 개장시간 중에는 이 펀드의
    기준가격
    기준가격
    펀드업계에서는 통상 ‘1좌당 순자산가치’를 줄여 부르는 말로 기준가격이라는 용어를 사용되고 있습니다.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합니다.
    즉, ETF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가치를 모두 반영하여 산출되는 ‘ETF 1좌당 가치’를 말합니다.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에 적용되는 추적대상지수를 기준으로 해당 통화의 환율 등이 이 펀드의 순자산가치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구성종목(PDF) 내역은 ETF 최소 설정단위인 1CU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즐겨찾는 상품
로그인하여 즐겨찾는 상품의
운용 정보(운용보고서/분배금 지급 내역 등)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마케팅 수신 동의자에 한함